Pen and Ink Botanical Illustration Tips

2021. 2. 10. 08:10STUDIES

728x90

딥 펜에 빠졌다가 만년필에 빠졌다가 잉크에 빠졌다가 조금씩 더 제대로 된 그림을 그리고 싶다며 이 책도 보고 저 책도 보면서 어느 날 갑자기 URL이 하나 툭 튀어 나왔다. 아직 내용을 다듬고 있는 보타니컬 일러스트레이션 코스를 읽다가 찾아본 내용이었던 것 같기도 한데, 다양한 식물 삽화 스타일에 대한 설명 중 펜과 잉크로 그린 후 가볍게 물감으로 채색하는 스타일이 있다고 해서 수채화로 세밀하게 표현하는 그림과는 또 다른 맛이 있을 것 같아 궁금해서 찾아 보기 시작했던 것 같다.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심지어 이 사이트가 공신력 있는 사이트인가도 잘 모르겠지만 틀린 말은 없는 것 같으니, 연결되어 있는 레퍼런스들도 다 확인하려면 아직 멀었지만 일단 본문은 한글화 마무리해서 포스팅한다. 

 

원문

 

Pen and Ink

Advice and information for botanical artists using pen and ink for botanical illustration - including videos

www.botanicalartandartists.com

Creating a botanical illustration in pen and ink
펜과 잉크로 보타니컬 일러스트레이션 창작하기 

Why is pen and ink used for botanical illustration
펜과 잉크를 보타니컬 일러스트레이션에 사용하는 이유

  • 과학 영역에서의 보타니컬 일러스트레이션은 전형적으로 펜과 잉크로 그려졌다.
  • 식물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항상 선으로 그린 그림이 사용되었다.
  • 과학 저널과 도서 인쇄 출판을 위한 단색 이미지가 필요했다.
  • 펜과 잉크로 그린 선 그림은 색상으로는 잘 구분되지 않는 식물 표본을 세밀하게 묘사할 수 있다.
  • 선으로 그린 일러스트는 단순하고 명확한 방법으로 식물의 기관이나 세부 단면을 분리하여 표현할 수 있다.
  • 스텔라 로스 크레이그(Stella Ross-Craig)가 사용하는 것과 같은 해칭(선으로 음영을 표현하는 기법)이나 현대의 다양한 식물 세밀화가들이 사용하는 점묘를 사용해 톤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 더욱이총천연색보다는 단색으로 인쇄하는 편이 비용이 훨씬 저렴하다.
참조
Biological Illustration: A Guide to Drawing for Reproduction by Claire Dalby and D. H. Dalby.
펜과 잉크로 만들 수 있는 선과 톤의 자연스러움과 펜 드로잉에 대한 상세한 논의 (다음 기회에 포스팅)
Scientific Illustration: Pen and Ink Techniques - Line & Stippling by Lizzie Harper
펜과 잉크로 톤을 만드는 작업을 하기 이전에 당신의 선에 만족스러워야 한다. 
Pen and Ink by Association of Medical Illustrators
펠프스 지의 과학용 일러스트를 위해 펜과 잉크를 사용하는 이유와 요즘 사용하고 있는 펜과 도구들에 대한 상세 안내
Botanical Illustrator Alice Tangerini
스미스소니언의 식물 세밀화 작가의 접근법 

Pen and ink techniques
펜 드로잉 테크닉 

( * 편의상 "펜과 잉크"를 "펜 드로잉"으로 표기)

 

부분적 복제를 위한 펜 드로잉에 사용할 테크닉은 인쇄 기술 과정에 따라 달라진다. 펜 드로잉에 사용되는 테크닉은 다음과 같다.

 

  • : 매우 정확한 방법이며, 안정적이고 흔들림 없는 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천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몸 가까운 곳에서부터 먼 곳으로, 위부터 아래로 그리는 것이 좋다.
  • 선 굵기의 변화 : 조금 더 굵은 두께의 선은 그림의 일부를 강조하거나 어두운 곳에 있는 형태의 일부를 표현할 수 있다.
  • 해칭(음영을 만들기 위해 선을 사용하는 기법의 명칭)은 톤(음영? 계조?)을 만들기 위해 많은 선을 반복해 그린다. 진짜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해칭은 일반적으로 중심 축에 평행하게 그려진다.(예시를 보고 싶다.) 왼손잡이일 경우 오른 쪽 선을 먼저 그리고 오른손잡이인 경우 왼쪽 선을 먼저 그린다.
  • 사선으로 만드는 해칭은 형태와는 관계 없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윤곽선 해칭은 형태의 윤곽선을 따르는 해칭으로 형태를 더 보완하고 식물을 보다 입체적으로 보이게 만든다. 
  • 점묘는 톤을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하다. 
  • 점은 음영을 설명하는 것과 형태를 설명하는 선이 서로 혼동될 수 있어 이를 피하기 위해 식물학자들이 선호하여 사용한다. 
  • 점과 점선은 존재하지만 눈에는 보이지 않는 선을 강조하는데 사용한다. 

선을 그리거나 배치할 때, 선을 강조하기 위해 펜과 잉크를 사용할 때 더 명확하고 올바르게 그림을 그리기 위해 연필을 먼저 사용한다. 

톤의 변화는 선이나 점의 공간에 의해 만들어지며, 어떤 경우에는 검정 잉크를 사용한 펜드로잉이라고 하기 어렵게 확산된 잉크가 회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해칭이나 점묘는 반드시 톤과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하고 공간을 채우는 방법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펜 잉크 드로잉을 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언제 펜을 놓는 것이 적당한지를 깨닫는 것이다.

The size of a pen and ink drawing
펜 드로잉의 크기

  • 인쇄를 위해 그림이 축소되는 경우가 많으며, 축소될 경우 보다 세밀한 정보가 손실될 수도 있다.
  • 시작하기 전에 복사(REPRODUCTION 아마도 1:1 재현을 의미하는 듯)를 위한 것인지, 이미지 크기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두야 한다. 어떤 배율로 그림을 그릴지 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궁금한 부분이기는 했는데, 최종 산출물의 형태를 모르는 상태라면 일단 마음대로 그려도 되는 것일까 그렇다고 1:1로 그리기에는 식물의 기관이 작고 복잡해서 세밀하게 그리기는 어렵다. 펜 스케치 마스터 콜렉션에서는 책에 실린 그림들은 실제 사이즈보다 훨씬 작은 사이즈라고는 했지만 얼마나 더 큰 크기로 그려야 할지는 여전히 궁금한 영역으로 남아 있다.)

The surface of a pen and ink drawing
펜 드로잉에 사용되는 종이의 재질

  • 탄력성 없이 일정하게 단단한 표면이 바람직하다.
  • 선이 털처럼 보이지 않고 깨끗하게 보여야 한다.
  • 표면에 잉크가 흘러내리거나 종이의 섬유층까지 잉크가 흡수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우둘두툴한 표면은 펜촉에 문제를 일으킬 것이다. (우둘투둘한 종이에 크로우퀼을 썼더니 힘들었다.)
  • 대체적으로 펜 촉이나 포인트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부드러운 표면에 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문 작가들이 선호하는 표면은 다음과 같다.

  • 일러스트 보드 또는 페이퍼
  • 브리스톨 보드 또는 페이퍼
  • 제도 필름 (drafting film, vellum)
  • 두꺼울수록 종이에 주름이 덜 생기므로, 네 겹 또는 다섯 겹의 두꺼운 브리스톨 보드는 더 큰 사이즈의 그림을 그리기에 적합하다.

주의 : 카트리지 페이퍼(Cartridge paper)는 펜 잉크 드로잉 전용 종이보다 부드러움이 덜 해 연필 드로잉에 조금 더 적합하다. (*카트리지 페이퍼 : 일반적인 복사지가 아니라 그림 그리기에 적당한 두께를 가진 드로잉 페이퍼를 따로 칭하는 용어인 것 같음)

비록 요즘 대부분의 그림이 디지털 이미지로 재현되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부분이지만 수정, 삭제 또한 가능한지까지 확장해서 고려할 필요도 있다.

Technical Pen and Ink
테크니컬 펜과 잉크 

펜과 잉크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펜이나 테크니컬 드로잉 펜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테크니컬 드로일 펜은 완전히 일정한 선을 사용할 수 있지만 뾰족하고 유연한 닙의 장점으로 만들어지는 선에 비해 다소지루할 수 있다.

(*테크니컬 드로잉 펜을 별도로 설명할 용어가 있나 모르겠음, 금속 튜브형 촉으로 만들어진 드로잉 또는 제도용 잉크 펜 종류인데 아마도 로트링이 제일 유명하지만 다른 브랜드의 제품도 있어서 테크니컬 펜으로 분류하는 것 같음)

1. Technical Drawing Pens

펜과 잉크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문 식물화 작가들은 래피도그라프나 아이소그라프와 같은 테크니컬 드로잉펜을 사용할 것이다. 테크니컬  펜에는 튜브 모양의 촉이 있으며 이 촉이 만들어내는 선은 ISO 표준을 준수하도록 사전에 결정된 폭의 범위로 만들어진다. 테크니컬 펜은 본질적으로 폭의 변화가 거의 없는 매우 일관되고 안정적인 선을 만들어 낸다. 일반적으로 검정 잉크를 사용하며 식물화 작가들은 때로 톤의 점증적 변화를 위해 선의 두께를 변경하지 않고 잉크를 희석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물을 섞어서 농도를 바꿀 수 있음, 아마도)

 

래피도그라프로 일러스트를 그리는 과정  YOUTUBE

식물화 작가 Alastair Robinson의 스톱모션 비디오에서 로트링 래피도그라프를 사용하여 난초를 그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참조
로트링펜의 래피도그라프와 아이소그라프의 차이점
펜이 꽉 막혔을 경우 초음파 세척이 작동하는 이유 (작동 원리까지 알 필요 있나, 집에 초음파 세척기가 있으니 나중에 세척해서 써야겠다.)
펜과 잉크로 그림을 그리는 과학 전문 일러스트레이터의 로트링 펜 사용 팁 (PDF 나중에 별도 포스팅) 

테크니컬 펜의 청소법 : 많은 작가들이 모노 톤의 보타니컬 일러스트를 펜 드로잉으로 그리기 위해 래피도그라프 같은 테크니컬 펜을 사용하지만 종종 막히거나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 아마도 청소가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래피도그라프 클리닝킷과 사용법을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Disposable Permanent Ink Pens
일회용 영구 안료 펜

( * 그냥 일회용 피그먼트 라이너라고 불러도 될 것 같다.) 

 

일러스트레이션에 유용한 일회용 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기록과 보존을 위한 모든 그림에 적합한 내광성을 가진 영구적인 잉크를 사용함
  • 매우 미세한 두께 0.5mm 미만 너비의 두께 (i.e. 0.2 mm, 0.1 mm and 0.05 mm)를 사용할 수 있음
  • 테크니컬 펜과 다르게 피그먼트 라이너는 제조 업체가 선택한 잉크 색상을 그대로 사용해야 하고 잉크의 농도를 바꿀 방법이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다양한 브랜드의 피그먼트 라이너가 나와 있고, 전문적인 일러스트레이터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알고 있는 제품을 추천하자면 아래와 같다. (별개의 브랜드를 각각 설명하고 있지만 공통 특성이 있다. 피그마는 세피아 컬러가 있으나 호수 표기가 혼란스럽다는 이야기인가 보다. 인스타그램에서 세피아 컬러 펜을 사용하는 작가를 본 적이 있다. 피그마 마이크론 펜이었나보다.)

 

  • Staedtler Pigment Liner 
    스태틀러의 피그먼트 라이너는 금속으로 된 촉을 통해 배출되는 지워지지 않는 염료 잉크를 사용한다. 잉크가 다 떨어지기 전에는 변질되지 않는다. 0.05mm부터 2mm 넓은 팁까지 있고, 식물 삽화에 가장 좋은 것은 0.5mm 미만의 얇은 선이다.
  • Pigma Micron Pen
    피그마 마이크론 펜의 피그마 잉크는 영구적이고 중성이며 방수가 가능하다. 검은색과 세피아 두 가지 색상을 구할 수 있고, 검정은 복제에 바람직하고 세피아는 단독 판매 목적의 예술 작업에 적합하다. 미세한 선을 그을 수 있으나 표기된 호수가 실제 촉의 폭을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혼란스러울 수 있다. 0.20mm, 0.25mm, 0.30mm, 0.35mm, 0.40mm, 0.50mm의 라인은 각각 005, 01, 02, 03, 04, 05로 표기된다. 

3. Dip Pen

정밀한 접근은 아니지만 펜으로 작업하는 Francesca Anderson 등의 전문적인 식물화 작가들은 종종 펜을 사용한다.

펜은 순수주의자와 예술의 영역(보타니컬 아트)이고 테크니컬 펜은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그림(보타니컬 일러스트레이션)의 영역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그렇게 단순하게 구분되지는 않고 작가가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펜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정된 두께를 가진 선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내는 테크니컬 드로잉 펜과는 다르게 선의 두께를 작가가 마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촉의 형태는 작가 개인의 선호에 따라 달라진다. 질럿 No 209 크로우퀼 촉은 머리카락 같이 아주 미세한 선을 그릴 수 있어 선호하기도 하며, 펜은 또한 유색 잉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참조
From Hunt to Tachikawa 보타니컬 일러스트에 사용되는 닙의 차이 : 덴버 보타닉 가든 스쿨의 보타니컬 아트와 일러스트레이션 강의 (비공개 포스팅이라 읽을 수 없음)
딥 펜의 이해와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 동영상
딥 펜으로 식물을 그리는 방법 동영상 
딥 펜 소개, 테크닉에 대한 조언 

 

스피드볼 9402-102 크로우퀼 펜 12팩 구매 좌표

 

102 - Crow Quill - 가장 대중적인 촉, 초미세, 유연

107 - Hawk Quill - 102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매우 단단함, 초미세 포인트

108 - Flexible Quill - 사선 해칭과 문자디자인을 위한 연성 촉 

 

크로우퀼 촉은 펜 홀더(Hunt Crowquill Pen Point Holder 9452)를 별도로 구매해야 함(일반적인 만년필 딥 펜과 규격이 다름)

4. Pigment Liners

(위에 나온 휴대용 일회성 염료 펜과 다른 게 무언지 모르겠음) 피그먼트 라이너는 내광성이 있으며 방수가 가능하며 잉크 카트리지를 교환하거나 잉크를 채우다가 잉크를 쏟을 일이 없다. 다양한 두께의 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채 물감이나 수성 잉크와 함께 쓸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이상 끝-

하단 배너에 있는 보타니컬 일러스트레이션을 위한 추천 도서 포스팅을 나중에야 발견했다. 언제 다 보나. 훑어 보니 그 중 몇 권은 그래도 이미 가지고 있다. 시간 될 때 챙겨서 몇 권 더 구매해야겠다. 

 

이렇게 해 놓고 보니 개괄적인 내용이다. 실제 해칭 예시나 표현 방법을 조금 더 알아봐야겠다. 연결되어 있는 PDF가 식물 삽화를 그리기 위한 가이드를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는 것처럼은 보이는데 꼼꼼히 읽어봐야 알 것 같다. 그건 또 언제 다 읽나 모르겠다. 미학적으로 아름다운 그림 이전에 생물학과 식물학에서 사용하는 꼼꼼한 삽화 도법도 궁금하기는 하다. 

 

728x90